건강정보

ADHD 치료에 드는 비용 | 진단부터 약물, 치료까지 총정리

글로벌인포2 2025. 5. 22. 03:14
반응형

ADHD 치료에 드는 비용 | 진단부터 약물, 치료까지 총정리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는 꾸준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한 신경발달장애입니다. 하지만 치료를 고려하는 많은 사람들은 ‘ADHD 치료에 얼마나 비용이 드는가?’라는 현실적인 고민에 부딪히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ADHD 치료 전반에 소요되는 비용 항목을 진단, 약물, 상담치료 등으로 나누어 상세히 안내하고, 보험 적용 여부 및 비용 절감 팁까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1. ADHD 진단 비용

① 정신건강의학과 초진 진료비

  • 비용 범위: 10,000원 ~ 25,000원 (건강보험 적용)
  • 내역: 문진, 간단한 상담, 예비 설문 포함

② 심리검사 비용

  • 종류: 종합심리검사, 인지기능검사, 집중력검사 등
  • 비용 범위: 100,000원 ~ 250,000원 (비급여 항목)
  • 비고: 병원마다 검사 항목과 비용 차이 존재, 아동·성인 동일 적용 가능

③ 정밀 평가 및 진단서 발급

  • 진단서 발급 시 추가 비용 발생 가능 (약 10,000원 ~ 30,000원)

TIP: 초진 시 병원 예약 전 검사 항목과 비용 유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2. ADHD 약물 치료 비용

① 콘서타(Concerta)

  • 성분: 메틸페니데이트
  • 비용: 1정당 1,000원 ~ 2,500원
  • 한 달 기준 비용: 약 30,000원 ~ 70,000원
  • 건강보험 적용: O (일부 조건 충족 시)

② 스트라테라(Strattera)

  • 성분: 아토목세틴
  • 비용: 1정당 1,500원 ~ 3,000원
  • 한 달 기준 비용: 약 45,000원 ~ 90,000원
  • 건강보험 적용: O (처방 조건 충족 시)

③ 인투니브(Intuniv)

  • 성분: 구안파신
  • 비용: 1정당 약 2,000원 ~ 4,000원
  • 한 달 기준 비용: 약 60,000원 ~ 120,000원
  • 건강보험 적용: 제한적 (소아 대상 위주)

약물 비용은 약국별 가격 차이가 있으므로, 근처 복수 약국에서 비교 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상담치료 및 행동치료 비용

치료 유형 비용 범위 비고
개별 심리상담 50,000원 ~ 120,000원/회 회당 30~60분 기준
인지행동치료(CBT) 60,000원 ~ 150,000원/회 전문 기관 및 치료사에 따라 상이
부모상담 (아동 ADHD) 50,000원 ~ 100,000원/회 양육 스트레스 완화 및 치료 방향 논의
집단상담 30,000원 ~ 70,000원/회 비용 절감 효과 있음

비급여 항목이므로 건강보험 적용 불가, 일부 정신건강센터에서는 무료 또는 저비용 제공


4. ADHD 치료 비용 절감 팁

  1. 건강보험 적용 여부 확인:
    • 진단서 및 정식 진단 후 처방이 이뤄지면 대부분의 약물은 건강보험 적용 가능
  2. 복지제도 활용:
    • 정신질환 등록 시 장애인 등록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가능
  3. 정신건강센터 이용:
    • 공공기관의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이용 시 저비용 또는 무료
  4. 심리검사 보험 특약 여부 확인:
    • 일부 실손보험은 심리검사 또는 정신과 치료비 보장 가능
  5. 의료비 세액공제 활용:
    • 연말정산 시 정신과 치료비 및 약제비 공제 대상 포함

5. 실제 치료 비용 예시 (성인 기준)

항목 월별 예상 비용
진료비 10,000원 ~ 20,000원
약값 (콘서타 기준) 30,000원 ~ 70,000원
심리상담 (주 1회 기준) 200,000원 ~ 400,000원
총합(평균) 약 25만원 ~ 50만원 수준

마무리 정리

ADHD 치료는 약물, 상담, 진단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월평균 약 25~50만 원의 비용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건강보험 적용, 공공기관 활용, 세액공제 등 다양한 절감 방안을 함께 활용한다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ADHD 치료는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관리가 핵심입니다. 비용에 대한 부담보다 장기적인 삶의 질 개선과 기능 회복을 우선시하여, 전문가 상담을 받고 체계적인 치료 계획을 수립해보시길 권장합니다.

반응형